오는 13일(금)부터 25일(수)까지 ‘Project_제다움 展’이 윤디자인연구소 갤러리뚱에서 열립니다. 계원예대, 경희대, 서울예대 3개의 학교에서 9명의 학생들이 모여 시작한 이번 전시는 듣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사진이나 설치, 회화와 같은 매체를 통해 시각적으로 담아낸 것이 특징입니다. ‘제다움’은 ‘나다움’을 뜻하는 순 우리말인데요, 전시에 참여한 9명의 작가는 형식적인 일관성 대신, 다양한 주제와 형태의 예술 작품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발견하고자 했습니다. 이 전시는 보는 관객들에게 특별한 이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말이 통하지 않아도 되고요.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옭아매지 않고, 자유로운 작업을 하고자 했습니다. 첫 번째 소개할 작가 남효진은 이라는 작품..
보령제약 전용서체 프로젝트는 기존의 여타 프로젝트보다도 호흡이 긴 프로젝트였습니다. 2014년의 시작과 끝을 함께했으니 말이죠. 그래서인지 최종 납품을 하고 난 뒤의 뿌듯함과 동시에 후련함이 컸던 것 같아요. 보령제약 전용서체는 제목용 2종, 본문용 2종으로 총 4종으로 구성되는데요, 제목용보다도 본문용에 조금 더 집중해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그 이유는 후에 의약품의 패키지에도 적용 될 수 있는 상황까지 고려하였기 때문이에요. 의약품 포장의 가독성을 고려하여 제작 일반의약품 포장에 기재된 용법·주의사항 등의 글자 크기가 너무 작아 40대 이상에선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보건연구 학회지 ‘대한보건연구’에 13일 공개된 보고서 ‘일반의약품 포장 기재사항의 글자 크기별 가독성’을 보면 40대..
먼저 크롬북이 아니라 미안합니다. 작년 여름에, 정확히 2014년 8월 29일, 크롬북 운운하며 연말에는 크롬북을 구매하겠다고 했지만 크롬북을 사진 않았습니다. 아직은 좀 아쉬웠거든요. 그리고 다시 한 번 미안합니다. 2014년 연말이면 저가형 윈도우 노트북이 나오니까 써보시라고 추천해드렸는데 그것도 사질 않았습니다. 대신에 윈도우 8.1 운영체계를 가진 조금은 가격이 있는 노트북을 서브 노트북으로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 크롬북에 대한 정보보기 (바로가기) 윈도우 운영체계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은 참 천차만별이죠. 그런데 직접 써보지 않은 저 같은 사람들은 안 좋은 글들에 더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심지어 써보지도 않았으면서 안 좋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하게 되죠. 그런데 직접 써보니 소문하고는 많이 달..
지난 구정 연휴를 기점으로 아내와 함께 약 2주 동안 미국 LA와 텍사스(Texas)의 달라스(Dallas)와 휴스턴(Houston)을 여행하고 왔습니다. 근데 이 놈의 직업병은 여행을 가서도 어쩔 수 없나봐요. 타이포그래피가 돋보이는 곳이 나타나면 자연스레 눈과 발이 향하고, 연신 카메라를 들이대고 있는 것을 보니 말이죠. 특히 텍사스에서 만난 곳들 중에는 타이포그래피가 돋보이면서 맛과 멋이 공존하는 곳이 참 많았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곳들은 여행 책자에도 국내 포털 사이트에도 잘 안 나오는, 현지인들이 즐겨 찾는 잇플레이스랍니다. 그 첫 번째 시간으로 달라스에서 만난 매력적인 커피숍을 소개시켜드릴게요. 눈을 크게 뜨고 저와 함께 텍사스로의 타이포그래피 여행을 시작해볼까요? 예술로 거듭난 비숍 아..
지난 1월, 새해를 맞아 가족들과 함께 할머니를 모시고 영화 ‘국제시장’을 보러 다녀왔습니다. 할머니께서는 ‘극장에 가는 일’ 자체를 그저 ‘젊은이들의 일’로만 여기셨는데요, 이미 ‘예매를 해두어 가지 않으시면 돈이 날라간다(!)’라는 어쭙잖은 손녀의 핑계에 마지 못한 척 영화관 나들이에 동참하게 되셨지요. 다행히 극장 안에는 생각보다 많은 수의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있었고 그제서야 안심 하신 할머니는 콧노래까지 흥얼거리시며 기쁜 내색을 감추지 않으셨습니다. (효도하는 거, 별로 어렵지 않아요~~ㅎ) 영화 ‘국제시장’의 포스터 / 출처: 네이버 영화 영화 시작과 동시에 할머니께서 방울방울 눈물을 흘리셨다. 영화 첫 부분에 6.25 전쟁 중 ‘흥남 철수(1950년 6·25전쟁 당시 동북부 전선(함경남북도 ..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시선, 위트 넘치는 디자인 토크쇼 가 3월부터 11월까지 2달에 1번, 시즌 2로 돌아옵니다. 그 첫 번째 시간으로 오는 3월 20일(금) 저녁 7시 홍대 앞 공연장 폼텍웍스홀에서 그래픽 디자이너 강구룡이 진행하는 세미나